블록체인은 데이터를 담은 블록(block)이 사슬 형태로 연결된 분산원장을 만드는 기술입니다. 시간 순서로 데이터가 기록된 블록을 쌓고, 이 블록을 여러 사람들이 공유하면서 정보의 신뢰성을 증명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 블록체인인데요. 단어 하나하나를 뜯어보면 조금 더 쉽게 블록체인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.
먼저 블록(block)을 살펴보겠습니다. 위의 그림에서처럼, 정해진 시간마다 하나의 블록이 만들어집니다. 만들어진 블록에는 이전 블록의 모든 내용이 하나의 암호로 변환(이전해시)되어 저장되고, 정해진 시간 동안 일어난 모든 거래들이 암호화(루트해시)되어 더해집니다. 그럼 한 블록에는 이전 블록의 내용과 이번 블록에서 일어난 모든 거래가 담기겠죠?
이렇게 블록이 계속 만들어지면서 사슬 형태의 원장(거래 내역이 모두 기록되어 있는 기록장)이 만들어집니다. 그런데 이 원장은 누구 한 명이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, 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이 각자 하나씩 들고 있습니다. 그래서 "분산"원장이라고 부르는 것이죠.
블록체인의 특징 : 탈중앙화
A가 B에게 천원을 송금했다는 사실은 보통은 은행이라는 기관이 바로 확인이 가능한데요..
이런 중앙관리자 없이 신뢰성 있는 검증 방법을 만들기 위해 등장한 기술입니다.
네트워크에 참여한 100명이 다수결로 이 거래를 기록하고 검증합니다. 이러한 특성을 탈 중앙화라고 합니다.
블록체인의 특징 : 투명성
블로체인 네트워크에 참석한 모든 인원은 어떤 거래가 일어났는지 모두 확인이 가능합니다.
과거 일어났던 모든 거래를 말이죠.
블록체인의 특징 : 보안성
누군가 장부를 조작하게 된다면 다른 사람들이 들고 있는 장부와 내용이 달라지게 됩니다.
그렇기에 조작된 장부는 효력을 잃게 됩니다.
블록체인의 비효율성은 단점
블록체인은 데이터가 쌓일수록 그러고 네트워크 참여자가 늘어날수록 처리해야 할 연산량이 많아 집니다.
사용자가 늘어날수록 안전해지지만 효율은 낮아지죠.. 때문에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개발 중입니다.
댓글